뜨거운 해외직구 열기, 여전히 진행중

지난해 역대 최대치…9천6백만 건, 47억2천만 달러 돌파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3-02-28 09:42:51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관세청은 28일 지난해 해외직구 현황과 주요 특징을 담은 2022년 해외직구 동향을 발표했다.

 

ㅇ 금번 발표는 최신 해외직구 추세와 소비 성향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편의를 제고하고 전자상거래 업계의 해외직구 시장 선택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다. 

 

< ‘22년 해외직구 동향 요약 >

 

 

 

 

(총괄) 지난해(‘22) 해외직구 규모는 9,612만 건, 4,725백만 달러로
전년대비 건수 기준 8.8%, 금액 기준 1.4%

 

< 연도별 해외직구 현황 >

 


  

 - /달러 환율상승으로 상승폭은 다소 둔화*됐으나 성장세는 꾸준,

올해에는 사상 처음으로 1억 건, 50억 달러를 넘어설 전망

* 전년대비 증가율 추이 : (‘19) 33.3% (‘20) 47.9% (‘21) 39.0% (‘22) 8.8%

 

(국가별) 건수, 금액 기준 모두 중국점유율 1를 차지

 

< ’22년 해외직구 국가별 점유율 >

 


  

(품목별)건강식품(16%)>가전제품(13%)>의류(12%)>기타식품(10%)>신발(6%)

(기간별)12(9.8%)>11(9.1%)>5(8.7%)>>2(7.0%)

(연령별)40(32%)>30(30%)>50대 이상(23%)>20(15%)>10(1%)

(성별)남성(52%)>여성(48%) [연령별+성별] 40대 남성(17%)>30대 여성(15%)>

  

. 2022년 해외직구 현황

 

국가별 현황

 

< 건수기준 추이 >

< 금액기준 추이 >

 


 

 


 

 관세청이 해외직구 통계를 관리하기 시작한 ’05년 이후, 중국발 해외직구 점유율*건수 기준으로 ’20년 최초로 1위에 오른데 이어, 금액 기준으로도 지난해 처음으로 1위 등극

 

* 건수 기준 : (’19) 33.8% (’20) 48.3% (’21) 53.6% (’22) 57.7%
금액 기준 : (’19) 18.7% (’20) 24.4% (’21) 27.9% (’22) 36.2%

 

ㅇ 다만, 품목당 구매단가가 미국(51$)이 중국(29$)보다 1.8배 높아, 금액 기준 중국-미국 간 점유율 격차(2.6%p)는 건수 기준(29.3%p)과 달리 크지 않음

 

해외직구의 97% 이상이 중국, 미국, 유럽, 일본에서 발송된 상품이며,
품목당 구매단가는 유럽(129$)>일본(58$)>미국(51$)>중국(29$)

 

품목별 현황 

’21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건강식품이 가장 많이 수입되었고(16.3%), 가전제품(13%), 의류(11.9%), 기타 식품[커피, 주류, 과자류 등](10%), 신발류(5.9%), 화장품·향수(4.9%), 완구·인형(4.4%), 핸드백·가방(3.4%)이 그 뒤를 이었는데, 상위 5대 품목이 전체에서 60% 가까이를 차지

< 주요품목 통관현황 >

< 국가별 수입상세 품목 >

 


 

 


 

1)가전제품: 헤드셋, 스피커, 태블릿, 컴퓨터 주변기기 등

2)건강식품: 비타민, 오메가3, 단백질보충제, 마그네슘 등

3)기타식품: 캡슐커피, 분유, 주류 등 4)기타식품: 과자, 라면류, 소스류 등

 

ㅇ 중국, 미국에서는 각각 가전제품과 건강식품을, 유럽과 일본에서는 기타 식품을 가장 많이 구매

 

ㅇ 주요 품목 중 건강식품, 기타식품 및 화장품·향수는 미국으로부터 가장 많이 구매됐으며 그 외 품목은 모두 중국에서 가장 많이 구매됨

 

기간별 현황 

12월 구매 비중이 가장 높고, 2월이 가장 낮음

 

11월부터 시작되는 연말 중국 광군제·미국 블랙프라이데이 등 글로벌 대규모 할인행사의 영향으로 수요가 증가한 것이 주요인

 

12(9.8%) > 11(9.1%) > 5(8.7%) > > 2(7.0%)

 

- 반면, 2월 해외직구 이용이 가장 낮은 이유는, 중국 춘절(春節, 음력설) 연휴 동안 중국 현지에서의 발송 지연으로 중국으로부터의 해외직구 통관물량이 감소한 것이 원인

 

2월 기준, 중국 점유율 49%(건수 기준)로 연중 최저 [vs. ‘22년 전체 점유율 58%]

 

1월부터 11월까지 전체 해외직구 품목은 건강식품(17%)>가전제품(13%)>의류(12%)>기타식품(10%) 순이었으나, 12*에는 할인행사 등으로 할인금액이 높은 가전제품이 1위 차지

 

* 12월 주요 구매품목 : 가전제품(14%) > 건강식품(13%) > 의류(12%) > 기타식품(8%)


연령별·성별 현황 외국인 등 연령, 성별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를 제외한 수치 

[연령별] 40대의 구매 비중(32%)이 가장 높고 30(29.6%) > 50대 이상(22.6%) > 20(14.6%) > 10(1.2%)이 그 뒤를 잇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별 주요 구매 품목은 다음과 같음

 

(10) 의류(16%) > 가전제품(12%) > 완구·인형(9%) > 기타식품(8%)

(20) 건강식품(20%) > 의류(13%) > 가전제품(10%) > 기타식품(9%)

(30) 건강식품(18%) > 의류(12%) > 가전제품(11%) > 기타식품(10%)

(40) 가전제품(15%) > 건강식품(14%) > 의류(12%) > 기타식품(8%)

(50대이상) 건강식품(18%) > 가전제품(17%) > 의류(11%) > 기타식품(7%)

 

[성별] 남성의 구매 비중(52.1%)이 여성(47.9%)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주요 구매 품목은 다음과 같음

 

(남성) 가전제품(21%) > 건강식품(15%) > 의류(10%) > 기타식품(6%)

(여성) 건강식품(19%) > 의류(14%) > 기타식품(12%) > 화장품·향수(7%)

 

< 성별·연령에 따른 해외직구 상위품목 이용현황 > 

 


 


 

 

 

* 사각형 숫자는 '수입건수'이며, 수입건수가 클수록 진한 색깔로 표시

 

[연령별+성별] 해외직구가 가장 많은 집단은 40대 남성으로 구입 비중이 17.4%에 달했고, 30대 여성이 15.4%로 그 뒤를 이었으며,

 

40대 남성의 주요 구매품목은 가전제품(23.8%) > 건강식품(10.6%) > ,
30대 여성의 주요 구매품목은 건강식품(17.8%) > 의류(13.8%) >

 

. 2022년 해외직구 주요특징

 

환율변화에 민감한 해외직구

 

/달러 환율의 상승기에는 감소하고 안정화 시기에는 증가하는 경향* 뚜렷

 

* [환율과 해외직구간 상관관계] 추세 변화로 인한 증가분 제거 시, 환율과 해외직구간
상관관계는 0.507‘로서 매우 큰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남

 

ㅇ 환율이 비교적 안정적이던 상반기는 해외직구 건수가 전년동기대비 약 13% 증가하였으나, 환율이 상승했던 하반기에는 약 5% 증가에 그침*

 

* [‘21] 4,108만건 [’22] 4,640(13%) // [‘21] 4,730만건 [’22] 4,972(5%)

 

- /달러 환율이 최고치를 보였던 10월에는 연중 유일하게 전년동월 대비 해외직구 건수가 1.8% 감소* * (‘21.10) 788만건 (‘22.10) 774

 

(참고) ’20~’22년 환율에 따른 해외직구 변화를 분석한 결과, /달러 환율 1% 상승 시 해외직구 건수는 0.7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주요 4개국(중국, 미국, 유럽, 일본) 중 환율(\/각국 통화)이 전년 대비 가장 많이 상승한 미국으로부터의 해외직구는 3.5% 감소한 반면, 유일하게 환율이 하락한 일본발 해외직구는 엔화 약세 영향으로 25% 대폭 증가

 

< ’22년 원/달러 환율변동에 따른 해외직구 추이 >

 


 

22년 평균환율

최저치

최고치

1291.95

1,185.50 (13)

1,436.60 (1025)

 


 

 

해외직구 대상 국가 및 품목 다변화 

[국가 다변화] 최근 2년 사이 동남아 국가(태국싱가포르·베트남말레이시아 등)로부터의 해외직구 건수는 118%, 금액은 148% 증가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은 미미하나(0.7%, 건수기준), 식품류·의류 등을 중심으로 급증

 

온라인 기반의 해외직구 특성상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다양한 국가의 제품 정보가 쉽게 공유되고 있다는 점과 동 지역의 물품을 구매·배송대행하는 전자상거래업체들의 플랫폼 입점이 늘면서 직구족들의 구매 접근성이 용이해진 것이 성장세에 한몫

 

[품목 다변화] 1위건강식품, 2위가전제품, 3위의류 등이 여전히 주요 해외직구 품목이지만, 다른 품목들과의 격차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

 

1·2위 품목(건강식품·가전제품) 비중 : [‘20] 33.7% [’22] 29.3% (4.4%p)

 

패션용품(의류, 신발, 핸드백가방)*과 운동용품, 생활용품 등 기타 품목**의 구매비중이 꾸준히 증가한 것이 구매품목 편중현상 완화에 영향

 

*[‘20] 13,796천건(19.1%) [‘21] 19,482(19.6%) [‘22] 22,773(21.2%)

**[‘20] 18,283천건(25.4%) [‘21] 28,178(28.5%) [‘22] 30,944(28.7%)

 

남성의 해외직구 비중 증가 

’21년까지는 여성의 구매 비중이 남성보다 높았으나, 지난해 처음으로 남성(52.1%)이 여성(47.9%)을 앞지름

 

< 성별에 따른 해외직구 이용현황 >

 


  

ㅇ 남성의 패션용품 구매건수가 22.3% 증가*하는 등 패션에 대한 남성들의 관심이 높아진 것이 남성의 해외직구 이용 증가의 주요 요인

 

*패션용품(의류, 신발, 핸드백가방) 구매: [‘21] 7,236천건 [‘22] 8,849

 

. 향후계획

 

조한진 관세청 전자상거래통관과장은 앞으로도 해외직구 동향 분석을 통해 해외직구 시장 추세 및 소비 트렌드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전자상거래업계 및 해외직구 이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며전자상거래 수출 활성화 지원의 일환으로 중소영세 기업의 수출전략 수립과 해외 시장 개척에 도움을 주고자 전자상거래 수출 동향에 대한 분석 결과도 연내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늘어나는 해외직구에 편승하여 증가하는 명의 도용, 불법물품 반입 등에 대해 엄중히 단속할 것이라며, 특히 명의 도용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국민비서*를 통해 제공하는 해외직구 통관내역 알림서비스**를 적극 이용할 것을 당부했다.

 

* 백신접종 예약 및 국민지원금 안내 등 각종 생활형 행정정보를 국민이 자주 이용하는 민간의 모바일 앱(카톡, 네이버 등)으로 알려주는 서비스(’22.10월 기준 약 1,500만명 이용 중)

** 품명신고일자운송장번호개인통관고유부호, 도용신고 안내 등

 

 

붙임

 

전자상거래 수입 통계

 

전자상거래물품 신고방법별 통관현황 (’18’22)

 

구 분

목록통관

간이신고

일반신고

합계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18

19,158

1,179

280

83

12,817

1,493

32,255

2,755

’19

25,538

1,292

329

94

17,121

1,757

42,988

3,143

’20

40,722

1,575

285

84

22,568

2,095

63,575

3,754

’21

58,553

1,975

300

86

29,527

2,597

88,380

4,658

’22

64,500

2,116

176

58

31,444

2,551

96,120

4,725

전년대비

증감(%)

10.2

7.1

41.3

32.4

6.5

1.8

8.8

1.4

* 목록통관 : 특송업체의 통관목록 제출로 수입신고를 갈음하는 제도
간이신고 : 일반 수입신고 항목의 일부를 생략하고 간이한 방법으로 신고하는 제도
일반신고 : 관세법 제241항에 따라 정식 수입신고하는 제도

 

국가별 통관현황 (’20’22)

 

구 분

2020

2021

2022

전년대비 증감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건수

금액

중국

30,698

915

47,353

1,300

55,417

1,712

17.0

31.6

 

비중%

 

48.3

 

24.4

 

53.6

 

27.9

 

57.7

 

36.2

미국

22,173

1,603

28,291

1,863

27,314

1,586

3.5

14.8

 

비중%

 

34.9

 

42.7

 

32.0

 

40.0

 

28.4

 

33.6

유럽

6,209

889

6,837

995

6,368

879

6.9

11.7

 

비중%

 

9.8

 

23.7

 

7.7

 

21.4

 

6.6

 

18.6

일본

2,668

198

3,509

289

4,386

331

25.0

14.7

 

비중%

 

4.2

 

5.3

 

4.0

 

6.2

 

4.6

 

7.0

ASEAN

297

27

498

59

648

67

30.2

13.4

 

비중%

 

0.5

 

0.7

 

0.6

 

1.3

 

0.7

 

1.4

기타

1530

122

1892

152

1986

150

5.0

3.6

 

비중%

 

2.3

 

3.2

 

2.1

 

3.2

 

2.0

 

3.2

합계

63,575

3,754

88,380

4,658

96,120

4,725

8.8

1.4

* 유럽은 영국을 포함한 EU국가/ ASEAN: 미얀마, 라오스,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필리핀,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품목별 통관현황 (’20’22)

 

순위

구분

’20

’21

구분

’22

증감

(전년대비)

건수

비중

건수

비중

건수

비중

1

건강식품

13,819

19.2%

16,998

17.1%

건강식품

17,460

16.3%

2.7%

2

가전제품

10,406

14.5%

13,405

13.5%

가전제품

13,962

13.0%

4.2%

3

의류

8,505

11.8%

12,146

12.2%

의류

12,790

11.9%

5.3%

4

기타식품

7,735

10.7%

11,040

11.1%

기타식품

10,727

10.0%

2.8%

5

화장품·향수

4,469

6.2%

5,209

5.3%

신발류

6,289

5.9%

40.2%

6

신발류

3,058

4.2%

4,484

4.5%

화장품·향수

5,298

4.9%

1.7%

7

완구·인형

2,775

3.9%

3,814

3.8%

완구·인형

4,721

4.4%

23.8%

8

핸드백·가방

2,233

3.1%

2,852

2.9%

핸드백·가방

3,694

3.4%

29.5%

9

서적류

389

0.5%

568

0.6%

시계

933

0.9%

104.8%

10

시계

324

0.5%

456

0.5%

서적류

600

0.6%

5.5%

11

기타

18,283

25.4%

28,178

28.5%

기타

30,944

28.7%

9.8%

-

합계

71,996

100%

99,150

100%

합계

107,418

100%

8.3%

 * 목록통관은 건수기준, 일반·간이신고는 수입신고 란건수 기준

란건수 기준 예시 : 수입신고 1건에 (1)건강식품, (2)의류 신고 시 2건으로 집계

 

주요 국가별 수입통관 품목 (’22)

순위

품목

중국

품목

미국

품목

일본

품목

ASEAN

품목

유럽

품목

기타

건수

비중

건수

비중

건수

비중

건수

비중

건수

비중

건수

비중

1

가전제품

12,321

20.6

건강식품

13,922

45.2

기타식품

1,419

24.8

기타식품

826

50.9

기타식품

1,705

24.9

건강식품

1,133

44.2

2

의류

8,394

14.0

기타식품

4,217

13.7

건강식품

738

12.9

건강식품

151

9.3

의류

1,328

19.4

기타식품

354

13.8

3

신발류

4,392

7.3

의류

2,488

8.1

완구·인형

474

8.3

화장품·향수

145

8.9

화장품·향수

853

12.5

신발류

315

12.3

4

완구·인형

3,350

5.6

화장품·향수

2,188

7.1

화장품·향수

344

6.0

의류

128

7.9

건강식품

650

9.5

화장품·향수

168

6.5

5

핸드백·가방

2,739

4.6

가전제품

1,174

3.8

신발류

331

5.8

핸드백·가방

24

1.5

핸드백·가방

409

6.0

의류

135

5.3

6

기타식품

2,204

3.7

신발류

870

2.8

의류

318

5.6

신발류

20

1.2

신발류

360

5.3

핸드백·가방

21

0.8

7

화장품·향수

1,601

2.7

완구·인형

795

2.6

가전제품

233

4.1

가전제품

14

0.9

가전제품

211

3.1

가전제품

9

0.4

8

건강식품

865

1.4

핸드백·가방

395

1.3

서적류

122

2.1

완구·인형

8

0.5

완구·인형

88

1.3

완구·인형

7

0.3

9

시계

799

1.3

서적류

210

0.7

핸드백·가방

106

1.9

서적류

4

0.2

서적류

17

0.3

서적류

6

0.2

10

서적류

240

0.4

시계

93

0.3

시계

22

0.4

시계

3

0.2

시계

15

0.2

시계

1

0.04

11

기타품목

22,948

38.4

기타품목

4,470

14.4

기타품목

1,611

28.1

기타품목

300

18.5

기타품목

1,203

17.5

기타품목

411

16.1

 

합계

59,854

100

합계

30,822

100

합계

5,718

100

합계

1,623

100

합계

6,839

100

합계

2,561

100

 * 목록통관은 건수기준, 일반·간이신고는 수입신고 란건수 기준

란건수 기준 예시 : 수입신고 1건에 1란 건강식품, 2란 의류 신고 시 2건으로 집계

품목별 주요 반입국가 (’22)

 

순위

품목

중국

미국

일본

유럽

ASEAN

기타

합계

건수

비중

건수

비중

건수

비중

건수

비중

건수

비중

건수

비중

건수

비중

1

건강

식품

865

5

13,922

80

738

4

650

4

151

1

1,133

6

17,460

100

2

가전

제품

12,321

88

1,174

8

233

2

211

2

14

0

9

0

13,962

100

3

의류

8,394

66

2,488

20

318

2

1,328

10

128

1

135

1

12,790

100

4

기타

식품

2,204

21

4,217

39

1,419

13

1,705

16

826

8

356

3

10,727

100

5

신발류

4,392

70

870

14

331

5

360

6

20

0

316

5

6,289

100

6

화장품·향수

1,601

30

2,188

41

344

6

853

16

145

3

167

3

5,298

100

7

완구·인형

3,350

71

795

17

474

10

88

2

8

0

6

0

4,721

100

8

핸드백·가방

2,739

74

395

11

106

3

409

11

24

1

21

0

3,694

100

9

시계

799

86

93

10

22

2

15

2

3

0

1

0

933

100

10

서적류

240

40

210

35

122

20

17

3

4

1

7

1

600

100

11

기타

22,948

74

4,470

15

1,611

5

1,203

4

300

1

412

1

30,944

100

* 목록통관은 건수기준, 일반·간이신고는 수입신고 란건수 기준

란건수 기준 예시 : 수입신고 1건에 1란 건강식품, 2란 의류 신고 시 2건으로 집계

시기별 통관현황 (’22)

구분

1

2

3

4

5

6

16

7,591

6,687

7,705

7,881

8,383

8,151

비중(48%)

 

7.9%

 

7.0%

 

8.0%

 

8.2%

 

8.7%

 

8.5%

구분

7

8

9

10

11

12

712

8,308

7,964

7,558

7,740

8,758

9,394

비중(52%)

 

8.6%

 

8.3%

 

7.9%

 

8.0%

 

9.1%

 

9.8%

* 목록통관은 건수기준, 일반·간이신고는 수입신고 건수 기준

 

참고’21년 시기별 통관현황

구분

1

2

3

4

5

6

16

6,831

5,173

7,352

7,357

7,146

7,217

비중(46%)

 

7.7%

 

5.9%

 

8.3%

 

8.3%

 

8.1%

 

8.2%

구분

7

8

9

10

11

12

712

7,419

7,053

7,230

7,881

8,475

9,246

비중(53%)

 

8.4%

 

8.0%

 

8.2%

 

8.9%

 

9.6%

 

10.4%

연령별·성별 통관현황

 

연령별 해외직구 이용현황 (’19’22)

구분

’19

’20

’21

’22

건수

비중

건수

비중

건수

비중

건수

비중

10

378

1.1%

593

1.0%

1,054

1.2%

1,154

1.2%

20

6,936

20.4%

10,215

18.0%

14,365

16.8%

13,545

14.6%

30

13,409

39.5%

20,135

35.5%

27,150

31.7%

27,486

29.6%

40

9,104

26.8%

16,990

30.0%

26,453

30.9%

29,725

32.0%

50대이상

4,139

12.2%

8,742

15.5

16,666

19.4%

21,028

22.6%

합계

33,966

100%

56,675

100

85,688

100%

92,938

100%

* 목록통관은 건수기준, 일반·간이신고는 수입신고 건수 기준

** 외국인 등 성별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제외

 

성별에 따른 해외직구 이용현황 (’19’22)

구분

’19

’20

’21

’22

건수

비중

건수

비중

건수

비중

건수

비중

여성

18,686

55.0%

29,453

52.0%

43,169

50.4%

44,535

47.9%

남성

15,280

45.0%

27,222

48.0%

42,519

49.6%

48,403

52.1%

합계

33,966

100.0%

56,675

100.0%

85,688

100%

92,938

100.0%

* 목록통관은 건수기준, 일반·간이신고는 수입신고 건수 기준

** 외국인 등 성별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제외

 

성별·연령별 해외직구 이용현황 (’22)

구분

남성

여성

건수

비중

금액

비중

건수

비중

금액

비중

10

425

0.9%

18

0.8%

730

1.6%

23

1.0%

20

6,110

12.6%

330

14.8%

7,436

16.7%

352

15.5%

30

13,218

27.3%

705

31.7%

14,268

32.0%

773

34.0%

40

16,200

33.5%

685

30.8%

13,524

30.4%

697

30.6%

50대이상

12,450

25.7%

486

21.9%

8,577

19.3%

430

18.9%

합계

48,403

100%

2,224

100%

44,535

100%

2,275

100%

* 목록통관은 건수기준, 일반·간이신고는 수입신고 건수 기준

** 외국인 등 성별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제외

성별 주요 구매품목 (’22)

 

순위

품목

남성()

품목

여성()

건수

비중

건수

비중

1

가전제품

10,821

21.3%

건강식품

9,452

19.0%

2

건강식품

7,673

15.1%

의류

7,124

14.3%

3

의류

4,813

9.5%

기타식품

5,756

11.6%

4

기타식품

2,965

5.8%

화장품·향수

3,569

7.2%

5

완구·인형

2,660

5.2%

신발류

3,515

7.1%

6

신발류

2,538

5.0%

가전제품

2,964

6.0%

7

화장품·향수

1,505

3.0%

핸드백·가방

2,088

4.2%

8

핸드백·가방

1,498

2.9%

완구·인형

1,976

4.0%

9

시계

625

1.2%

서적류

300

0.6%

10

서적류

258

0.5%

시계

292

0.6%

11

기타

15,541

30.5%

기타

12,719

25.4%

 

합계

50,897

100%

합계

49,755

100

 * 목록통관은 건수기준, 일반·간이신고는 수입신고 란건수 기준

란건수 기준 예시 : 수입신고 1건에 1란 건강식품, 2란 의류 신고 시 2건으로 집계

** 외국인 등 성별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제외

연령별 주요 구매품목 (’22)

순위

10(019)

20(2029)

30(3039)

40(4049)

50대이상

품목

건수

비중

품목

건수

비중

품목

건수

비중

품목

건수

비중

품목

건수

비중

1

의류

193

15.6

건강

식품

2,887

19.8

건강

식품

5,341

17.8

가전

제품

4,944

15

건강

식품

4,185

18

2

가전

제품

149

12.1

의류

1,890

13.0

의류

3,594

12.0

건강

식품

4,640

14

가전

제품

3,770

17

3

완구

인형

115

9.3

가전

제품

1,524

10.4

가전

제품

3,398

11.3

의류

3,771

12

의류

2,489

11

4

기타

식품

103

8.4

기타

식품

1,304

8.9

기타

식품

3,095

10.3

기타

식품

2,518

8

기타

식품

1,701

7

5

신발류

74

6.0

신발류

999

6.8

신발류

1,881

6.3

신발류

1,934

6

신발류

1,166

5

6

건강

식품

72

5.8

화장품향수

778

5.3

화장품향수

1,611

5.4

완구

인형

1,676

5

화장품향수

1,059

5

7

핸드백가방

49

4.0

완구

인형

625

4.3

완구

인형

1,553

5.2

화장품향수

1,585

5

핸드백가방

740

3

8

화장품향수

42

3.4

핸드백가방

590

4.0

핸드백가방

1,012

3.4

핸드백가방

1,195

4

완구

인형

667

3

9

서적류

19

1.5

시계

150

1.0

시계

268

0.9

시계

301

1

시계

186

1

10

시계

13

1.0

서적류

104

0.7

서적류

175

0.6

서적류

172

1

서적류

88

0

11

기타

405

32.9

기타

3,736

25.8

기타

8,040

26.8

기타

9,371

29

기타

6,705

29

 

합계

1,234

100

합계

14,587

100

합계

29,968

100

합계

32,107

100

합계

22,756

99

 * 목록통관은 건수기준, 일반·간이신고는 수입신고 란건수 기준

란건수 기준 예시 : 수입신고 1건에 1란 건강식품, 2란 의류 신고 시 2건으로 집계

** 외국인 등 성별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제외

성별·연령별 주요 구매품목 (’22)

 

남성

순위

10(019)

20(2029)

30(3039)

40대이상

품목

건수

비중

품목

건수

비중

품목

건수

비중

품목

건수

비중

1

가전

제품

87

19.5

건강

식품

1,630

25.3

건강

식품

2,483

17.8

가전

제품

7,295

24.3

2

의류

59

13.3

가전

제품

959

14.9

가전

제품

2,480

17.8

건강

식품

3,515

11.7

3

건강

식품

45

10.1

의류

689

10.7

의류

1,380

9.9

의류

2,685

8.9

4

완구

인형

32

7.3

기타

식품

444

6.9

기타

식품

1,027

7.4

완구

인형

1,599

5.3

5

신발류

32

7.2

신발류

431

6.7

완구

인형

777

5.6

기타

식품

1,467

4.9

6

기타

식품

27

6.1

완구

인형

252

3.9

신발류

761

5.5

신발류

1,313

4.4

7

핸드백

가방

13

2.9

화장품

향수

241

3.7

화장품

향수

484

3.5

핸드백

가방

917

3.1

8

화장품

향수

10

2.2

핸드백

가방

180

2.8

핸드백

가방

388

2.8

화장품

향수

771

2.6

9

시계

7

1.6

시계

70

1.1

시계

169

1.2

시계

380

1.3

10

서적류

5

1.1

서적류

38

0.6

서적류

71

0.5

서적류

144

0.5

11

기타

128

28.7

기타

1,496

23.4

기타

3,937

28.0

기타

9,979

33.0

 

합계

445

100

합계

6,430

100

합계

13,957

100

합계

30,065

100

 * 목록통관은 건수기준, 일반·간이신고는 수입신고 란건수 기준

란건수 기준 예시 : 수입신고 1건에 1란 건강식품, 2란 의류 신고 시 2건으로 집계

** 외국인 등 성별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제외

 

 

여성

순위

10(019)

20(2029)

30(3039)

40대이상

품목

건수

비중

품목

건수

비중

품목

건수

비중

품목

건수

비중

1

의류

134

16.9

건강

식품

1,257

15.4

건강

식품

2,858

17.8

건강

식품

5,311

21.4

2

완구

인형

83

10.5

의류

1,201

14.7

의류

2,214

13.8

의류

3,575

14.4

3

기타

식품

76

9.7

기타

식품

860

10.5

기타

식품

2,068

12.9

기타

식품

2,752

11.1

4

가전

제품

63

7.9

신발류

568

7.0

화장품

향수

1,127

7.0

화장품

향수

1,873

7.6

5

신발류

42

5.3

가전

제품

565

6.9

신발류

1,119

7.0

신발류

1,787

7.2

6

핸드백

가방

37

4.6

화장품

향수

537

6.6

가전

제품

918

5.7

가전

제품

1,419

5.7

7

화장품

향수

32

4.1

핸드백

가방

409

5.0

완구

인형

777

4.8

핸드백

가방

1,017

4.1

8

건강

식품

27

3.4

완구

인형

373

4.6

핸드백

가방

625

3.9

완구

인형

743

3.0

9

서적류

14

1.8

시계

80

1.0

서적류

104

0.6

서적류

116

0.5

10

시계

6

0.8

서적류

66

0.8

시계

100

0.6

시계

106

0.4

11

기타

275

35.0

기타

2,241

27.5

기타

4,101

25.9

기타

6,099

24.6

 

합계

789

100

합계

8,157

100

합계

16,011

100

합계

24,798

100

 * 목록통관은 건수기준, 일반·간이신고는 수입신고 란건수 기준

란건수 기준 예시 : 수입신고 1건에 1란 건강식품, 2란 의류 신고 시 2건으로 집계

** 외국인 등 성별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제외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나홍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