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전국 관세조사 관계관 회의 개최

공정성장·민생안전 보호에 관세조사 역량 집중…관세조사에 AI도입 전략 논의
박정선 기자 | news@joseplus.com | 입력 2025-09-03 10:41:28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관세청이 서울본부세관에서 개최한 전국 관세조사 관계관 회의

 

관세청은 92일 서울본부세관에서 전국세관 관세조사 국과장 등 44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국 관세조사 관계관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올해 상반기 관세조사 운용 실적을 점검하고, 미국 관세정책 등 대내외 여건을 반영한 하반기 역점 추진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관세청은 20251월부터 7월까지 관세조사를 통해 11,802억 원 상당의 탈세·법규위반 행위를 적발했다.

 

분야별로 보면 탈세 적발금액은 3,610억 원으로 2024년 연간 총 적발금액 대비 23% 증가했다. 이는 최근 고가 사치품목(가방, 장신구, 주류 등)의 수입가격 저가신고 탈세사건들이 일제 적발된 데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수입요건 준수 의무 등을 위반해 적발된 금액은 2,001억 원으로, 주로 국민 생활용품·산업용품 관련 안전요건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외국환거래법 위반 행위도 6,191억 원 상당 적발됐다. 

유형별 적발 실적(상세)

구 분

2022

2023

2024

202517

세 액 탈 루

1,380억 원

1,890억 원

2,929억 원

3,610억 원

법규

위반

수입요건 준수

의무 등 위반

2,612억 원

581억 원

670억 원

2,001억 원

외국환거래법 위반

4,063억 원

2,504억 원

1,605억 원

6,191억 원

합계

8,055억 원

4,975억 원

5,204억 원

11,802억 원

 

관세청은 하반기에 공정성장 뒷받침과 민생안전 보호에 중점을 두고 관세조사를 운영하는 한편, AI를 적극 활용해 관세조사 운영체계를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다.

 

먼저 공정성장을 저해하는 무역거래 행위는 관세조사를 통해 철저히 검증하기로 했다.

 

- 외국산 물품의 저가 물량공세, 덤핑방지관세 회피 행위* 등 불공정 무역행위에 대한 점검을 강화하며, 특히 주요 소비재 품목의 수입가격 적정성 여부도 지속 점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 (위반 유형) 덤핑방지관세가 부과되지 않는 품목번호·규격으로 신고 낮은 덤핑방지 관세율이 적용되는 공급사의 명의를 이용한 허위신고 약속한 최저 수출가격보다 높은 것처럼 조작해 신고 

최근 적발 사례

중국산 후판이 잠정덤핑방지관세 부과 대상이 됨에 따라, 후판 표면에 페인트를 칠해 컬러강판으로 위장하여 덤핑방지관세 비대상 품목의 품목번호로 신고·수입한 A사 적발

 

다음으로,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국민 생활용품, 산업안전용품을 수입·유통하는 행위에 대한 점검도 한층 강화한다.

 

- 외국산 물품을 수입하면서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등 국내 법령에서 정한 안전성 여부를 인증기관에 확인 받았는지 여부 등 관련 법규 준수 실태를 중점 점검할 예정이다. 

최근 적발 사례

B사가 식품과 직접 닿아 고온에서 사용되는 식품용 기구인 중국산 오븐팬 16,827개를 수입하면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안전섬 검사 절차 이행하지 않고 수입·유통한 사실 적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통보, 판매 중단 및 회수(리콜) 조치 시행

 

마지막으로, AI 대전환 기조에 발맞춰 AI 혁신 기술을 관세조사 분야에 도입해 관세조사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한 단계 높여나갈 구체적인 전략을 신속히 마련·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회의를 주재한 이명구 관세청장은 대한민국의 관문에서 국가경제와 국민안전을 보호하면서 국가재정의 한 축으로서 주어진 소임을 다하는 것이 국민들이 관세청에 바라는 역할임을 매순간 잊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우리 사회가 공정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대내외 시장질서를 위협하는 불공정 무역행위 차단에 관세조사 역량을 집중하여 줄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박정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