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무역데이터 연간 301억 건 개방…기업 경제효과 4조 8천억 원 창출

관세청, ‘관세무역데이터 개방 성과측정과 신규개방 수요’ 연구용역 결과 발표
개방 창구 및 제공 방식 다양화로 데이터 접근성·사용 편의성 높여
박정선 기자 | news@joseplus.com | 입력 2024-09-24 11:33:21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관세청은 관세무역데이터의 개방 성과를 측정한 결과*, 지난해 1년간 약 48천억 원의 경제적 효과를 창출했다고 밝혔다.

 

* 연구용역 : “관세무역데이터 개방 성과측정과 신규개방 수요
(데이터 활용 실적이 있고, 성과측정이 가능한 부분에 한정하여 계산함)

 

관세무역데이터란 수출·수입 화물, 입출항 무역선·무역기, 수입품목 관세 등에 관한 통계작성에 사용된 기초자료와 이를 활용하여 생산·가공·분석한 데이터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관세청은 수출입 업체, 정부, 공공기관, 일반 국민 등 약 115만 명의 사용자*에게 연간 301억 건의 관세무역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업무시간 단축, 행정비용 감소 등 다양한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 수출입업체(27), 관세사·선사·항공사 등 통관지원업체(1), 정부기관(26), 공공기관(18), 금융(7), 요건기관(64), 개인 등 기타(87)

 

관세청은 데이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전자통관시스템(UNI-PASS), 수출입무역통계, 한국무역통계 정보포털, 공공데이터 포털 등 다양한 창구를 운영·활용하여 관세무역데이터를 개방하고 있다.

 

[누리집] 관세청 전자통관시스템: unipass.customs.go.kr / 수출입무역통계: tradedata.go.kr / 한국무역통계 정보포털: www.bandtrass.or.kr / 공공데이터포털: www.data.go.kr

 

개방 창구(플랫폼)별 성과는 전자통관시스템이 약 34천억 원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 누리집과 한국무역통계 정보포털(TRASS)이 약 6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개방 플랫폼별 관세무역데이터 개방 성과>

 


 

 

* 개방성과(창출편익) = 데이터 이용건수 x 업무단축시간 x 근로자 평균시간당임금(14,456.7,  2023)

 

관세청은 화면조회, 오픈 API*, 파일데이터 등 다양한 방식으로 관세무역데이터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데이터 가공·활용 편의를 높이고 있다.

 

* Open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공개된 정보를 일반국민 누구나 서비스를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일례로 물류 컨설팅대표 A씨는 연구용역 수행사와의 인터뷰에서, “관세청이 오픈 API 방식으로 제공하는 화물통관진행정보 등의 데이터를 활용해 수입화물 모니터링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연간 1억 원 상당의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관세청은 관세무역데이터의 민간 활용 제고와 신규 비즈니스 창출을 목적으로 데이터 개방 대상을 확대 추진 중이다.

 

수출입 기업의 물류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상수출입 및 항공수입 운송비용에 대한 국가별·월별 데이터와 행정 구역별 경제 동향을 더욱 세세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기존 ·도별단위의 수출입 실적을 ··구별단위로 확장하여 개방한다.

 

이진희 정보데이터정책관은 앞으로도 관세무역데이터를 활용한 경제적 부가가치가 더욱더 창출될 수 있도록 데이터 추가 개방 수요를 적극 발굴하고 대국민 홍보활동을 강화하는 등 데이터 개방 서비스를 지속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박정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