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내년 국세수입 전망, 1년 전 전망과 42조원이나 차이

금년 세수 추계 오차율 11.1%, 통계 작성 이후 최대, 첫 두자릿 수 오차율
나홍선 기자 | hsna@joseplus.com | 입력 2021-10-06 11:35:02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정부의 내년 국세수입 전망이 1년 전 전망치와 무려 42조원이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정부 끝까지 확장재정을 위해 고무줄 세수추계로 재정운용계획을 세웠다는 비판이 나온다. 

 

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간사 류성걸 의원(사진-국민의힘, 대구 동구갑)의 기획재정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정부가 작년 9월 국회에 제출한 ‘20202024 재정운용계획에서 2022년 국세 수입 전망치는 296.5조원이었다. 그런데 금년 9월 제출한‘20212025 재정운용계획에서는 내년 국세수입을 338.6조원으로 전망했다. 불과 1년만에 무려 42.1조원이나 국세수입을 늘려잡은 것이다. 5년간 연평균 증가율도 ‘20~24년 계획에서는 2.8%였으나, ‘21~25년 계획에는 5.1%로 대폭 상향했다.

 

부는 2022년 예산안에서 내년 국세수입을 338.6조원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금년 본예산과 비교하면 국세수입 전망치(282.7조원) 대비 무려 19.8%나 증가한 것이고, 2차 추경기준(314.3조원)으로도 7.8%나 증가한 것이다. 정부는 내년 세수증가이유로 금년부터 가시화된 강한 경제회복세가 세수에 본격 반영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그러나 최근 잠재성장률 추정치나 주요 거시경제변수 전망치를 봤을 때 내년에도 세수가 증가할지는 미지수다.

 

최근 한국은행은 2021~2022년 잠재성장률 추정치를 코로나 이전보다 0.2%p 하락한 2.0%로 발표했고, IMF 역시 2020~2022년 우리 잠재성장률을 20192.6%에서 1.8%로 낮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정부가 내년 예산안 편성에 적용한 성장률 등 주요 거시경제변수 전제들도 금년 전망치보다 떨어진 상태다

 

류 의원은 잠재성장률이나 거시경제변수 전망치가 떨어지면 국세수입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정부가 내년 국세 수입을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전망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고 지적했다.

 

정부의 국세수입 전망을 신뢰할 수 없는 이유는 매번 빗나가는 고질적 세수추계 오차에 기인한다.

 

당초 기재부가 예상한 금년 국세수입 예산은 282.7조원(본예산 기준)이었지만 금년 세수호황과 전년도 납부유예분 반영으로 정부는 31.5조원을 증액한 314.3조원(2차추경 기준)이다. 세수 추계 오차율이 무려 11.1%가 된다. 이는 2004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대, 첫 두자릿 수 오차율이 된다.

 

지난 2018년 세수오차률이 9.5%까지 커지자 기재부는 2019년 세수추계 시스템 개선방안을 내놓았지만 오차율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다.

 

[] 20042020 연도별 국세수입 예산 대비 국세수입 오차율

단위 : %

연도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오차율

-3.5

0.4

2.0

9.6

1.0

0.3

8.0

2.5

-1.3

-4

연도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오차율

-5.1

1.0

4.2

5.7

9.5

-0.5

2.1

11.1?

 

 

*자료 : e-나라지표

 

류성걸 의원은잘못된 세수 추계는 적재적소에 예산을 투입하지 못하고 재정운용을 경직되게 만든다, “금년 초과세수는 기본적으로 재정당국이 세수추계를 잘못해서 발생한 것인 만큼 현 세수추계 방식과 추계 모형에 문제가 없는지 재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naver
  • 카카오톡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 보내기
나홍선 기자 다른기사보기
  • 글자크기
  • +
  • -
  • 인쇄
  • 내용복사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