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정책혁신 범부처 TF” 출범
- 대내외 환경변화를 고려하여 기존 중견기업 정책 전면 재점검
올해 하반기 “새정부 중견기업 정책 혁신방안(가칭)” 발표 - 김영호 기자 | kyh3628@hanmail.net | 입력 2017-09-01 16:30:58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백운규)는 1일 오후 3시 이동욱 중견기업정책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중견기업 정책혁신 범부처 TF’ 출범 회의(Kick-off)를 개최했다.
TF는 ‘총괄 분과’와 ‘산업 생태계’, ‘글로벌 혁신’, ‘산업·무역 융합’ 등 3개 실무분과로 구성되며, 금일 총괄 분과 회의에는 기재부, 중기부, 공정위 등 총 8개 부처와 중견기업연합회, KIAT, KOTRA 등 유관기관 및 학계, 업계에서 총 21명이 참석했다.
이번 TF는 2017년 7월 중견기업 업무가 舊중기청에서 산업부로 이관된 것을 계기로 저성장 추세 지속,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 등 대내외 여건 변화와 새정부 국정철학을 반영하여 관계부처 합동으로 기존 중견기업 정책을 전면 재평가하고 혁신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출범했다.
중견기업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경제위기 대응과 안정성 강화’에 기여하는 우리 경제의 허리로서, 우리나라가 저성장의 늪에서 벗어나 산업 경제의 활력을 회복하고 1인당 국민소득 4만불 시대로 진입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업군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 중견기업은 평균 고용인원(‘14)이 343.8명으로 중소기업의 3.9명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을 뿐아니라 대졸 초임 3천만원 이상 제조업체 비중(‘15)의 경우 중견기업대 중소기업이 50.8%와 5.0%의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중견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유연성과 신속성 측면에서 경쟁력을 보이며 경제 위기시 대내외 충격을 흡수하고, 급변하는 산업 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중견기업 수는 3,558개(‘15년 기준)로 전체 사업체 대비 비중이 0.1%로 독일(0.57), 일본(0.55), 미국(0.57) 등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낮고, 내수 중심으로 글로벌 경쟁력이 미흡한 상황이다.
정부는 범부처 TF를 통해 유망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 전문 기업으로 성장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정부 중견기업 정책 혁신방안(가칭)’을 마련하여 금년 하반기에 발표할 계획이다.
이동욱 중견기업정책관은 “대기업 중심, 수출 주도 낙수효과가 미약한 상황에서, 새정부의 소득주도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혁신적 중소.중견기업 육성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시급하다”며 “중기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을 강화해 글로벌 강소.중견기업 비중을 확대하고, 중견기업 정책과 산업.무역.통상정책 등과의 연계를 강화, 기업의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시책을 발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