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전자상거래 전용 수입통관 플랫폼 만든다
- 급증하는 해외직구 효율적 대응위해 전자상거래 수입통관체계 전면 개편
- 박정선 기자 | news@joseplus.com | 입력 2024-01-11 18:50:52
관세청은 올해 하반기부터 2년간 224억 원 규모의 ‘전자상거래 전용 수입통관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11일 밝혔다.
관세청에 따르면, 이번 수입통관 플랫폼 구축 사업은 기존 기업 간 무역거래(B2B)에 비해 다양한 공급망이 관여하는 전자상거래(B2C)의 특성을 수입통관 체계에 반영, 급증하는 전자상거래 통관 물량을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해 추진됐다.
사업의 주요 과제는 ▲전자상거래 전용 수입신고서 신설, ▲공급망 기반 위험관리 체계 구축, ▲본인인증 체계 도입, ▲전용 포털(Portal)과 모바일 앱(App) 개발로 구성된다.
전자상거래 전용 수입신고서는 기존의 일반수입신고서에 거래관계에 관여한 전자상거래업체 신고 항목을 추가하고 그 외 불필요한 일부 항목을 삭제해 전자상거래 특성에 적합하게 개편될 예정이다.
공급망 기반 위험관리 체계의 경우 관세청에 거래정보를 전송하는 전자상거래업체의 물품을 신속 통관해 국민들이 정상적으로 해외직구한 물품을 빠르게 받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또, 전자상거래물품 주문 시 QR코드, 지문 인증 등의 본인인증 체계를 도입해 개인통관고유부호 도용 우려를 해소하고, 전자상거래 전용 포털(Portal)과 모바일 앱(App)을 구축해 통관정보 조회, 실시간 민원상담, 세금조회·납부, 통계 제공 등 전자상거래 관련 원스톱 대민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관세청 김용철 전자상거래통관과장은 “국민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전자상거래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본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면서도 그 과정에서 전자상거래업계와 국민의 목소리를 충분히 수렴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자료=관세청] |
[저작권자ⓒ 조세플러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헤드라인HEAD LINE
카드뉴스CARD NEWS